본 과정은 학술 연구에 생소한 예술분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다. 연구의 개념과 연구윤리에 대한 이해를 시작으로 레퍼런스의 검색과 참고하는 방법과 관리 방법을 습득한다. 나아가 논문의 구조를 이해하고 논문을 읽는 방법을 배운다. 또 다양한 연구 형식과 방법론을 설명하고 이를 중심으로 논문주제 설정하기, 소논문쓰기 등을 수행한다.
영화를 기본 텍스트로 하며 영화의 역사와 영화 연구에 필요한 이론 체계를 연구한다. 영화 연구에서는 학술적 영역에서 창작의 영역까지 포괄적으로 학습한다
이 강좌는 게임 산업의 역사와 현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게임 디자인과 인터렉션의 연구 방향성을 발굴할 수 있도록 한다. 디지털 게임의 디자인 요소, 제작 방법, 분석, 미학, 사회적 의미와 연관된 논문 주제를 발굴하고 연구를 진행한다.
캐릭터 개발의 전반적인 작업, 연계 라인을 점검하고 효율적인 방안에 대하여 논의한다. 상품으로서의 캐릭터 가치를 높이기 위한 마케팅 방안을 연구하고 실제 적용 사례를 제시한다
영상매체가 산출하는 이미지를 미학적으로 해석한다. 미학에 대한 기존의 전통적 사유를 유보하고 새롭게 등장하는 영상매체 플랫폼과 연관해 미학에 대한 새로운 논의의 틀을 찾아가도록 한다
인간심리를 탐색하는 영상학을 라캉의 정신분석학 이론을 통해 학습한다. 이를 통해 이성 우위라는 인식이 제거된 상태의 감성이 담긴 다양한 영상을 이해하도록 한다.
예술철학의 전반적인 흐름을 추적하며 주요 쟁점들의 변화와 논의에 대해 살핀다. 특히, 현대 예술철학의 주요 쟁점들, 숭고, 미와 추, 매체 등에 대한 사적(史的) 고찰을 통해 현대 예술과 콘텐츠에 대한 철학적 이해와 준거의 틀을 만든다.
트랜스미디어에 대한 체계적 이해를 돕는다. 기존 미디어 문화사의 연장선상에 트랜스미디어를 위치시키고, 기존 미디어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며 현대의 복잡한 미디어 생태계에 대한 이해의 틀을 제공한다
장편영화 제작을 위한 시나리오 작성의 이론과 실기. - 아이템 개발과 기획 - 시나리오 구조설계 및 캐릭터 구축 - 업계 피칭과 사전제작사업 지원 등 실질적인 기획단계 진행한다.
영현대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매체 철학 강의 (1): ‘매체의 변화’를 중심으로 예술철학사를 살펴보며 현대의 문화콘텐츠를 둘러싼 주요 매체철학적 논의들을 살핀다.
박사논문을 쓸 수 있는 능력을 배양시키기 위한 소논문 쓰는 연습을 진행 한다. 논문 쓰기 연습을 통해 논문 주제를 탐색하고 스토리텔링의 모티브 개발을 위한 창의적 사고를 학습한다.
본 교과과정은 영상 분야의 전문가, 특히 이야기를 쓰고 연출하는 사람들이 생성형 AI를 어떻게 사용하여 생산성과 창의성을 높일 수 있을지, 일반인들과의 차이는 어떤 부분에서 드러나는지 실질적인 사용과 수정과 필요한 프레임 개발을 통해 연구한다.
주요 영화감독들의 연출론을 다룸에 있어 시나리오에 대한 관여도와 스크린에 또다른 세계를 구현하는 그들만의 영상과 음향을 다루는 방식에 대해 논한다.
본 교과과정에서는 인터렉션을 다학제적인 접근을 통해 사회적, 산업적 현상을 조망하고 다양한 장르와 매체에서 구현되는 인터렉션의 핵심 요소를 연구분석하고 융합의 조율자로서의 인터렉션 디자이너를 제시한다
인터넷의 발전은 전 세계의 정보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묶어놓았고, 또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는 사람들의 관계를 온라인으로 가져갔다. 이 과정은 이러한 온라인 환경이 가져오는 변화에 대해 논의한다.
디자인, 예술, IT, 경영학, 공학 등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이 모여 미래의 신기술 및 서비스 등 창의적 디자인 상품의 개발을 연구하고 결과물의 시제품(試製品, prototype) 을 제작한다.
시네마와 프랑스 철학자들 [Baudrillard, Deleuze (들뢰즈), Sartre, Derrida, Lyotard]가 어떻게 영화에 대해 생각했는지 연구한다.
우리는 <카이에 뒤 시네마>에서 <포지티프>와 잘 알려진 다른 영화 잡지들에 이르기까지 디드로와 같은 저명한 예술 비평가들의 영향과 롤랑 바르트에서 크리스티앙 메츠에 이르기까지 시각 기호론자들의 영향을 통해 영화 비평의 방법론을 살펴 볼 것이다.
이 수업은 인지심리학과 행동심리학의 관점에서 Serious Game을 접근해 보며, 일반적으로 심리학이 어떤 상황이나 상태를 분석하고 설명하는 기능을 하는데 반해, 본 수업에서는 그 상태와 상황을 만드는 행동을 직접 이끌어 내는 것에 관해서 연구한다.
게임의 특성에 맞는 비즈니스 모델을 도출하고 미래의 수익모델을 제안하는 수업이다. 시대의 흐름과 마케팅 전략에 따라서 비즈니스 모델이 새롭게 도출되어온 역사를 배우고 케이스 스터디를 통해서 가상의 게임을 선정하여 그에 적합한 비즈니스 모델을 도출하고, 미래의 수익모델을 제안하는 능력을 배우게 된다.
게임과 관련된 학술적 이해와 제작 관련 요소, 산업 및 사회 관련 이슈, 미디어와 미래에 대한 다양한 주제 발굴 또 관련된 문헌과 사례 분석 그리고 각종 데이터를 분석하는 연구 방법론과 논문 집필, 투고와 수정까지의 과정을 공부한다
이 수업에서는 유니티3D, 언리얼로 대표되는 상용 게임제작 엔진을 활용하기 위한 기초 수업으로 C언어와 게임엔진의 이해, 그리고 게임에 필수적으로 활용되는 알고리즘을 이론적으로 학습한다. workshop2를 배우기 위한 필수 과정으로 게임 프로그래밍의 기초를 다루며, 업계에서 활용되는 상업용 게임 제작 엔진을 활용하여 실제 비디오 게임을 코딩하고 제작하는 과정을 배운다
유니티3D를 활용하여 실제 비디오 게임을 코딩하고 제작하는 과정을 배운다. workshop1에서 기초를 배운 학생이거나 다른 수업을 통해서 유니티 기본을 배운 학생만 수강할 수 있다. 이 수업에서는 유니티 3rd party가 제공하는 다양한 라이브러리나 제작툴에 기반해서 상용화에 준하는 게임을 제작하고 실제로 google play에 업로드하여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까지 다룬다. 이 과정에서 업계의 전문 개발자의 도움을 일부 제공할 수 있고, 상용화로 연계되는 과정까지 진행할 수 있다.
StoryPlaying은 수동적으로 경험하는 스토리텔링이 아닌 플레이어가 스토리의 주체로서 몰입하는 경험 디자인에 관한 수업으로 스토리텔링의 장점과 게임의 장점을 공간적 경험으로 풀어낸 콘텐츠 기반의 Serious Game에 대해 학습하고 개발하는 수업입니다. 학생들은 수업에서 콘텐츠 기반의 Serious Game의 경험을 공간적으로 기획하고 개발하는 활동을 하게 됩니다.
이 강좌는 인공지능의 정의와 트렌드,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예술분야의 변화 가능성 등 단순히 새로운 기술로서의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를 넘어 문화기술(CT)로서의 인공지능과 딥러닝에 대한 이해를 돕고, 직접 실습하고자 한다. 예술 분야에서 핵심 기술-예술 융합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인공지능, 기계학습, 딥러닝에 대한 지식을 학습하고 실제로 이 수업에서 활용해보고자 한다.
본 교과목은 게임디자인 분야에 관한 종합 설계를 수행하는 수업이다. 본 교육과정은 기본 1과 심화2로 나뉘어져 있다.
기본 1 수업에서는 졸업 프로젝트 수행에 필요한 제반 조사 및 리서치를 진행하고 이론과 사례 중심으로 솔루션 도출을 위한 사전 연구를 진행한다. 본 수업은 개설되는 시기에 따른 산업계의 요구나 시대적 흐름에 따른 게임디자인 관련 과제를 부여받아 다양한 open-ended solution을 모색, 디자인하고 실용적 활용이 가능한 수준으로 구현, 개선, 상용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제로 상용화 비전을 보여줄 수 있는 working prototype을 직접 준비하고 제작함으로 풀스택 게임디자이너로서의 자질과 소양을 연마하며, 실용적인 다학제 융합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본 교과목은 개설시기에 따라 유명 IP holder, 해외 유명 대학과 함께 진행될 수 있으며 팀단위로 기획 및 제작을 진행하여 학기말에 기업과 해외 대학에 경쟁 방식으로 프리젠테이션을 하거나 로드쇼 전시를 한다.
이 수업은 최근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장애인 예술(Ableart)을 인문학적이고 사회적인 시점에서 다각도로 분석하고 실제 퍼포먼스와 전시 등 현장 실습활동을 통해 장애인 예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기획 실행하는 창의적인 실기 능력을 함양한다.
인공지능의 개념과 역사에 대해 개략적으로 소개하고 기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인공지능이 예술창작에 적용되었을 때 발생하는 윤리적 쟁점들, 저작권 문제, 사례연구 등에 대해 전반적으로 다룬다.